명리학

명리학이란? (음양 오행, 사주팔자, 만세력, 일주론)

sarah kim:) 2025. 4. 25. 03:16
728x90
320x100

안녕하세요.

오늘부터는 새롭게

명리학 시리즈를 차근차근 시작해보려 합니다.

지금까지 MBTI 16가지 유형을 살펴봤어요.

명리학에는 본인을 나타내는

60가지 유형이 있다는 거 알고계신가요?

일주라고도 하는데요.

일주를 알기에 앞서

몇 가지 개념을

간단히 잡고 갈게요!


1. 명리학이란?

- 명리학의 뜻

‘명리학(命理學)’이란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운명을(命) 이치(理)로 풀어내는 학문”입니다.

동양 철학에서 유래된 이 명리학은,

사람이 태어난 연(年), 월(月), 일(日), 시(時)를 기준으로

그 사람의 성격, 재능, 건강, 인간관계, 직업, 인생 흐름 등을 읽어내는 체계예요.

- 명리학은 무엇을 알려줄까요?

  • 나는 어떤 사람일까? (성격, 기질, 적성)
  • 어떤 사람과 잘 맞을까? (궁합, 인간관계)
  • 언제 좋은 운이 올까? (운세 흐름, 대운/세운)
  • 어떤 일을 하면 좋을까? (직업적 재능)

명리학은 단순한 운세풀이가 아닙니다.

자신을 이해하고, 흐름을 읽고,

타인과 조화롭게 살아가기 위한 삶의 지도라고 할 수 있어요.

명리학은 운명을 ‘예측’이 아니라 ‘이해’하는 학문입니다

많은 분들이 “내 운명은 정해져 있는 건가요?”라고 물으시는데요,

명리학은 정해진 운명을 말하기보다는

‘지금 내 인생의 계절은 무엇인지’를 알려주는 나침반 같은 역할을 합니다.

즉, 봄에 씨를 뿌리고, 여름에 꽃피우고,

가을에 거두고, 겨울에 쉬는 흐름을

자기 인생에도 적용해보는 지혜의 도구인 것이죠.

"명리학은 인생의 내비게이션입니다.

길이 막혔다면 우회로를 찾고,

지금 어디쯤인지 알려주는 지도와도 같죠."

2. 음양이란?

 

명리학을 이해하기 위해

짚고 넘어가야 할 개념은 바로 ‘음양(陰陽)’입니다.

동양 철학의 뿌리이기도 한 음양의 원리를 이해하면,

명리학도 훨씬 쉽게 다가올 수 있어요.

음(陰)과 양(陽)은

모든 사물과 현상이 대립하면서도

균형을 이루는 두 가지 에너지입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구분
양(陽)
음(陰)
방향
위, 바깥
아래, 안
기운
밝음, 뜨거움, 상승, 활동
어둠, 차가움, 하강, 정지
시간
계절
봄·여름
가을·겨울
성향
활동적, 외향적
내향적, 수동적
대표 에너지
태양, 불
달, 물

이처럼 음과 양은 따로 떨어져 있는 게 아니라,

서로를 필요로 하고,

서로를 만들어내는 순환하는 관계입니다.

- 명리학 속 음양

명리학에서 쓰이는 천간(십간 十干)과 지지(십이지十二支),

그리고 오행(五行)도 모두 음과 양의 성질로 나뉘어요.

예를 들어,

  • 갑(甲)은 양(陽)의 목(木)
  • 을(乙)은 음(陰)의 목(木)

음양은 사주를 해석할 때 사람의 성격, 기질, 행동 패턴을 구분하는 핵심 기준이 됩니다.

3. 오행이란?

오행은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다섯 가지로,

세상의 모든 변화는

이 다섯 기운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고 봅니다.

- 오행의 기본 의미

오행
자연 상징
에너지 방향
사람의 성향
계절/방향
목(木)
나무, 초록
성장, 확장
활발함,
이상추구
봄 / 동
화(火)
태양, 불
발산
열정,
표현력
여름 / 남
토(土)
대지, 흙
중재, 안정
신뢰,
책임감
환절기 / 중앙
금(金)
바위, 금속
수렴
냉철함,
판단력
가을 / 서
수(水)
바다, 물
저장
감수성,
지혜
겨울 / 북

- 오행은 어떻게 작용할까?

오행에는 두 가지 중요한 작용이 있어요.

  1. 상생(相生): 서로를 도와주는 관계

👉 목 → 화 → 토 → 금 → 수 → 목...

2. 상극(相剋): 서로를 제어하거나 갈등을 일으키는 관계

👉 목 ↘ 토 ↘ 수 ↘ 화 ↘ 금 ↘ 목...

오행은 인생의 다섯 가지 재료예요.

나무(목)로 불(화)를 피우고,

불이 타면 재(토)가 되고,

땅에서 금속(금)이 생기고,

금속은 물(수)을 만나야 단단해지듯

오행은 서로를 돌며 생명력을 주고 받습니다.

 

4. 만세력

사주를 보려면

만세력어플이 필요해요.

저는 <천을귀인> 어플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생년,월,일,태어난 시간

남/여, 양력/음력, 평달/윤달 구분하셔서

사주조회를 누르세요!

 

현재 25년 4월 24일 오후 2시38분에 태어난 아이의

사주 명식은 이렇게 되네요.

빨간색 네모를 보시면

오른쪽부터

연주, 월주, 일주, 시주가 있어요.

이 네 기둥을 ‘사주(四柱)’라고 부르며,

각 기둥은 천간(天干)과 지지(地支)라는 글자 2개로 구성되어

총 8글자, 즉 ‘사주팔자(四柱八字)’라고 부릅니다.

5. 일주론이란?

이제 본격적으로 일주(日柱)에 대해 알아볼 차례예요.

일주는 내가 태어난 ‘날짜’의 간지(천간 + 지지)를 의미하며,

사주팔자 중에서도 가장 나 자신을 대표하는 기둥이에요.

 

또한, 우리가 흔히 말하는 “일주”는

태어난 시(時)를 몰라도

생일만 알면 확인할 수 있어요.

 

- 왜 일주가 중요한가요?

일주는 나의 타고난 성격, 기질, 성향을 보여주며

사주 전체 해석의 중심축이라고 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 갑자일주는 큰 나무가 겨울 물가에 서 있는 모습,
  • 정유일주는 정화(火)의 촛불이 금(金)의 닭에 비친 모습처럼

각 일주는 자연의 이미지로 비유되며

그에 따른 성향, 사고방식, 관계 방식 등이 해석됩니다.

- 60가지 일주

일주는 천간 10개 + 지지 12개 = 60가지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이를 ‘육십간지’ 혹은 ‘60일주’라고 하며,

각각의 일주는 모두 고유한 성격과 에너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 60갑자 표 (천간 + 지지 조합)

번호
간지
번호
간지
번호
간지
번호
간지
1
갑자(甲子)
16
기사(己巳)
31
갑오(甲午)
46
기해(己亥)
2
을축(乙丑)
17
경오(庚午)
32
을미(乙未)
47
경자(庚子)
3
병인(丙寅)
18
신미(辛未)
33
병신(丙申)
48
신축(辛丑)
4
정묘(丁卯)
19
임신(壬申)
34
정유(丁酉)
49
임인(壬寅)
5
무진(戊辰)
20
계유(癸酉)
35
무술(戊戌)
50
계묘(癸卯)
6
기사(己巳)
21
갑술(甲戌)
36
기해(己亥)
51
갑진(甲辰)
7
경오(庚午)
22
을해(乙亥)
37
경자(庚子)
52
을사(乙巳)
8
신미(辛未)
23
병자(丙子)
38
신축(辛丑)
53
병오(丙午)
9
임신(壬申)
24
정축(丁丑)
39
임인(壬寅)
54
정미(丁未)
10
계유(癸酉)
25
무인(戊寅)
40
계묘(癸卯)
55
무신(戊申)
11
갑술(甲戌)
26
기묘(己卯)
41
갑진(甲辰)
56
기유(己酉)
12
을해(乙亥)
27
경진(庚辰)
42
을사(乙巳)
57
경술(庚戌)
13
병자(丙子)
28
신사(辛巳)
43
병오(丙午)
58
신해(辛亥)
14
정축(丁丑)
29
임오(壬午)
44
정미(丁未)
59
임자(壬子)
15
무인(戊寅)
30
계미(癸未)
45
무신(戊申)
60
계축(癸丑)

- 한 줄 정리

일주론은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명확하게 답해주는 명리학의 핵심입니다.

명리학은 분명 놀랍고 흥미로운 학문이에요.

내 삶의 흐름을 한 발짝 떨어져서 바라보게 해주고,

앞으로의 방향을 설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죠.

하지만,

모든 인생이

정해진 운명이라는 생각에 사로잡히는 건

오히려 위험할 수 있어요.

명리학은 "나 자신을 이해하고, 더 나은 선택을 하기 위한 지도"_일 뿐이니까요.

감사합니다.

728x90
320x100

'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TI로 풀어보는 60일주 이야기  (0) 2025.04.25